달집태우기는 달집사르기라고도 불리우데 매년 음력 정월
대보름날 농악대와 함께 망우리를 돌리며 달맞이할 때 주위를 밝게 하기 위해서 청소년들이 대나무로 기둥을 세우고
짚 · 솔가지 · 땔감 등으로 덮고 달이 뜨는 동쪽에 문을 내서 만든 것을 달집이라 합니다.
달집 속에는 짚으로 달을 만들어 걸고 달이 뜰 때 풍물을 치며
태웁니다. 이것은 쥐불놀이나 횃불싸움 등과 같이 불이 타오르는발양력과 달이 점차 생장하는 생산력에 의탁한 민속놀이
입니다.
달집을 태워서 이것이 고루 잘 타오르면 그해는 풍년, 불이
도중에 꺼지면 흉년이고, 달집이 타면서 넘어지는 쪽의 마을이 풍년, 이웃마을과 경쟁하여 잘 타면 풍년이 들 것으로 점칩니다.
또한 달집 속에 넣은 대나무가 불에 타면서 터지는 소리에 마을의 악귀들이 달아난다고도 합니다.
달집을 태울 때 남보다 먼저 불을 지르거나 헝겊을 달면
아이를 잘 낳고, 논에서 달집을 태우면 농사가 잘된다는 설이
있습니다.